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향교길 31-14 에 위치한 장수향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향교이다. 대성전은 보물 272호로 1963년 1월 21일에 지정되었다.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22.jpg

장수향교 홍살문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23.jpg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27.jpg

외삼문 부강문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30.jpg

충효당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31.jpg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32.jpg

정충복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38호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35.jpg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42.jpg

 

정충복비는 장수읍의 향교 앞에 자리하고 있는 비로, 조선시대 중기 사람인 정경손의 의로운 뜻을 기리고 있다.

정경손의 호는 충복으로, 임진왜란 당시 향교내의 문묘(文廟)를 지키고 있었는데, 왜적의 한 부대가 이곳 장수지역에 침입하여 문묘에까지 이르자, 문을 굳게 닫고 무릎을 꿇고 앉아서 말하기를, “만약 문에 들려거든 나의 목을 베고 들라”하였다. 이러한 그의 늠름하고 당당한 태도에 감복한 왜적들은 ‘본성역물범(本聖域勿犯 : 이곳은 성스러운 곳이니 침범하지 말라)’이라 쓴 쪽지를 남기고 스스로 물러났다. 이로인해 피해를 막아낼 수 있었으며, 대부분 불에 타버린 다른 지역의 향교들에 비해 이곳만은 온전히 보존될 수 있었다. 훗날 사람들은 그의 의로운 기개를 거룩히 여겨 이 자리에 비를 세워 두었다,

비각안에 있는 비는 낮은 사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지붕돌을 올린 모습으로, 조선 헌종 12년(1846)에 세웠다.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46.jpg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51.jpg

내삼문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54.jpg

장수향교 대성전 보물 제272호(1963.01.21 지정)

 

 

장수향교는 조선 태종 7년(1407)에 덕행이 훌륭한 사람들을 모셔 제사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을 위해 나라에서 세운 지방교육기관이다. 지금의 자리로 옮긴 것은 숙종 12년(1686)때의 일이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하여 여러 성현께 제사지내기 위한 공간으로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며, 건물의 크기는 별로 크지 않고 앞면 가운데에는 여닫이문을 달았다. 오른쪽과 왼쪽 칸에도 같은 형식의 문짝 1개씩을 달았는데 그 옆에는 우물 정(井)자 모양의 창을 달았다. 지붕 처마를 받치고 있는 장식구조의 겉모양을 화려하게 꾸몄는데, 이러한 장식은 조선 중기 이후 건축의 특징적인 요소이다.

 

장수 향교는 임진왜란 때에도 잘 보존되어 조선 전기 향교의 형태를 잘 알 수 있다. 이곳에서 보관하고 있는 서적은 지방 향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으며, 특히 대성전은 조선시대 향교 건축의 대표 건물 중 하나이다.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59.jpg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60.jpg

명륜당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64.jpg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67.jpg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68.jpg

경성제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69.jpg

진덕제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69_1.jpg

사마재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70.jpg

장수향교 홍살문

 

장수향교 사진 임영식_6271.jpg

 

장수향교는 1407년(태종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장수면 선창리에 창건하였다. 1686년(숙종 12)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고, 1877년(고종 14)에 현감 홍우정(洪佑鼎)이 중수하였으며, 1935년에 중수하고 1970년·1973년·1975년에 각각 보수하였다. 이 향교는 임진왜란 때에도 훼손되지 않고 보존되어 조선 전기 향교의 형태를 잘 알 수 있다.

대성전은 보물 제27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조선시대 향교 건축의 대표적 건물의 하나로 보존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공자에게 지내는 제사)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소장 전적으로는 판본 90종 237책, 사본 32종 57책의 총 122종 294책이 있으며, 이 중 ≪청금록 靑衿錄≫·≪장수현도유안 長水縣都儒案≫·≪유안 儒案≫·≪수정향안 修正鄕案≫·≪향교조례 鄕校條例≫·≪선안 仙案≫·≪향헌 鄕憲≫ 등의 필사본은 이 지방의 향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1. 백두대간 육십령 六十嶺

    88고속도로에서 남하가조IC로 나와 거창 허브빌리지와 심소정, 농월정을 경유하며 전주까지 계속 26번국도를 이용하여 백두대간 육십령을 넘는다. 지금은 통영대전고속도로의 최장 터털인 3,170미터의 육십령터널이 있어 비교적 한적한 도로지만 육십령은 신라...
    Date2022.06.14 By전북넷 Views94
    Read More
  2. 장수 논개사당 論介祠堂 의암사(義巖祠)

    장수 논개사당 論介祠堂 의암사(義巖祠) 논개사당 정식 명칭은 의암사(義巖祠)다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에 있는 해방 이후 의암 주논개(朱論介)의 영정을 모신 사당으로 전라북도 시도기념물 제26호로 1981년 4월 11일 지정되었다. 진주 남산공원에 지...
    Date2021.12.17 By전북넷 Views78
    Read More
  3. 의암 주논개 생가

    의암 주논개 생가 임진왜란 때 왜장과 함께 남강에 투신한 논개(論介 ?~1593)를 기리기 위해 조성한 곳으로 전라북도 장수군 장계면 대곡리에 있다. 논개의 성은 주씨(朱氏)이고, 전라북도 장수군 장계면 대곡리 주촌마을에서 태어났다. 1986년 대곡저수지(오...
    Date2021.12.17 By전북넷 Views83
    Read More
  4. 주논개 절개의 상징 장수 장수리 의암송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호비로 10 장수군청 앞 정원에는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제397호인 의암송과 장수군 보호수인 450년된 은행나무가 있다. <사진제공 임영식> 장수군청 앞 은행나무(좌측)와 의암송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제397호 장수 장수리 ...
    Date2021.12.11 By전북넷 Views70
    Read More
  5. 장수향교 長水郷校 Jangsuhyanggyo Confucian School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향교길 31-14 에 위치한 장수향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향교이다. 대성전은 보물 272호로 1963년 1월 21일에 지정되었다. 장수향교 홍살문 외삼문 부강문 충효당 정충복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38호 정충복비는 장수읍의 향교...
    Date2021.12.08 By전북펜션넷 Views61
    Read More
  6. 장수 도암서원 道巖書院

    장수 도암서원 道巖書院 Doamseowon Confucian Academy 2021년 5월 12일 도암서원 전경 전라북도 정수군 장계면 송천리 (전북 장수군 장계면 서변길 49-27) 서면마을 언덕에 위치한 도암서원은 1815년(순조 15)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경광(李絅光)·이성구(李聖...
    Date2021.12.08 By전북펜션넷 Views5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